RTX 5090 vs 4090: 4K 레이트레이싱·AI 워크로드 체감

결론 먼저. 4K 레이트레이싱 기준으로 RTX 5090은 RTX 4090 대비 대체로 25~35% 빠릅니다. DLSS 4의 Multi Frame Generation(최대 4X)을 더하면 프레임은 더 올라가지만, 입력 지연과 화면 일관성(특히 120Hz TV) 이슈로 고주사율 모니터</strong에서 체감이 가장 큽니다. AI 작업에서는 32GB GDDR7 VRAM과 5세대 텐서 코어 덕분에 대형 이미지·영상·로컬 LLM에서 여유가 늘고, Stable Diffusion 같은 워크로드는 커뮤니티 실측 기준 40~50% 가속 사례가 확인됩니다.

 

핵심 스펙 비교(요약)

항목 GeForce RTX 5090 (Blackwell) GeForce RTX 4090 (Ada)
CUDA 코어 21,760 16,384
VRAM 32GB GDDR7 / 512-bit 24GB GDDR6X / 384-bit
AI 성능(공식 표기) 5세대 텐서 코어, 최대 3,352 AI TOPS 4세대 텐서 코어, 최대 1,321 AI TOPS
표시 출력(최대) 4K 480Hz 또는 8K 165Hz(DSC) 4K 240Hz 또는 8K 60Hz(DSC)
총 그래픽스 전력(TGP) 575W 450W
권장 시스템 전원 1000W(12V-2×6 또는 동봉 어댑터) 850W(12V-2×6/12VHPWR 또는 동봉 어댑터)
슬롯/디자인(FE) 2슬롯(더블 플로우스루, 베이퍼 챔버·액체금속) 3슬롯

스펙 출처: NVIDIA 공식 제품 페이지(5090/4090). 5090 FE는 최대 575W, 권장 PSU 1000W 및 12V‑2×6 전원 규격을 명시합니다.

 

4K 레이트레이싱 ‘체감’은 어느 정도인가?

 

써드파티 벤치들을 종합하면, 라스터 4K 평균 24~28%레이 트레이싱 4K 평균 27~35% 상승이 현실적인 체감치입니다. 일부 제목에서는 40~50%까지 벌어지지만, 1440p 이하에서는 CPU 병목으로 격차가 줄어듭니다.

대표 타이틀 / 설정 해상도 RTX 5090 RTX 4090 차이(대략)
Cyberpunk 2077 RT Ultra(업스케일링 제외) 4K 53 FPS 39 FPS +35%
Dying Light 2 RT 4K 109 FPS 80 FPS +37%
Resident Evil 4 RT 4K 210 FPS 160 FPS +31%

수치 발췌: GamersNexus(동일 테스트 환경). 종합 평균에 대해서는 TechSpot/톰스하드웨어의 4K 요약(약 24~28% 상승)도 참조.

DLSS 4의 Multi Frame Generation(MFG) 체감

  • 50 시리즈 전용 MFG(최대 4X)는 생성 프레임 수가 늘어 표면상 FPS를 크게 끌어올립니다. 40 시리즈의 Frame Generation(1X)과는 동작 방식이 달라 직접 비교가 어렵습니다.
  • 다만 MFG 강도를 높일수록 지연시간 증가가 생겨, 120Hz TV 환경에선 프레임 이득 대비 응답성 저하를 호소하는 사용자 후기가 적지 않습니다. 모니터 주사율에 맞춘 보수적 설정이 체감품질에 유리합니다.

 

AI 워크로드(Stable Diffusion·로컬 LLM) 체감

 

스펙상 5090은 4090 대비 AI TOPS가 2.5배 이상으로 표기되지만, 실사용 성능은 작업·정밀도·툴체인에 따라 20~50% 수준의 향상이 관찰됩니다.

  • Stable Diffusion/SDXL: 커뮤니티 초기 벤치에서 FP16 기준 약 40~50% 빠른 생성 속도 사례 다수. 예) 동일 워크플로에서 4090 37.6초 → 5090 25초(A1111 dev 브랜치, 사용자 측정 보고).
  • 로컬 LLM(TensorRT‑LLM, vLLM 등): 토큰/s 향상은 소프트웨어 최적화와 모델·정밀도(BF16/FP8/INT8)에 좌우. 일부 테스트는 기대(대역폭 우위)만큼의 이득이 아닌 보통 10~30% 수준 보고.
  • VRAM 32GB는 SDXL 하이레졸·비디오 생성, 30B급 LLM, 멀티 모델 동시 구동에서 여유를 제공합니다(4090의 24GB는 동일 조건에서 제약이 잦음).

 

전력·발열·시스템 요건

 

  • 5090 FE TGP 575W, 공식 권장 PSU 1000W. 실제 게이밍 중 GPU 단독 560W 내외 스파이크가 관찰됩니다. 4090은 TGP 450W·권장 PSU 850W.
  • 전원 커넥터: 12V‑2×6(PCIe Gen5) 사용. 고품질 ATX 3.1 PSU의 네이티브 12V‑2×6 케이블 사용과 정확한 완전 체결이 중요합니다.
  • FE 2슬롯 쿨러(베이퍼 챔버+액체금속)는 열 억제와 소음 모두 준수하다는 평가. 다만 메모리 온도는 높은 편이라 케이스 흡·배기 최적화 권장.

 

업그레이드 판단 가이드

 

  • 바로 체감 큰 사용자: ① 4K 144~240Hz OLED/미니LED 모니터 보유, ② 풀 RT/패스 트레이싱 타이틀(사이버펑크 2077, 앨런 웨이크2 등) 상시 플레이, ③ SDXL·영상 생성·고용량 로컬 LLM 등 AI/크리에이티브 비중이 큰 경우.
  • 보류 권장: 1440p 이하 게이밍 위주(평균 10~15% 내외 상승), 120Hz TV로 거실 플레이(고강도 MFG는 지연시간 체감 가능)라면 4090 유지 효용이 큼.

 

추천 구성(검증·커뮤니티 평판 반영)

 

PSU(ATX 3.1 · 12V‑2×6)

  • 1000W급be quiet! Dark Power 13 1000W 등 상위권 평가 제품. 5090+중상급 CPU 조합에 정격 1000W는 합리적 하한.
  • 여유형 1200W급Corsair HX1200i(2025) 같이 12V‑2×6 네이티브 지원·리플/과도응답 우수한 모델. 오버클록·AI 장시간 부하라면 권장.
  • 케이블은 굽힘 최소화·완전 체결이 핵심. 전용/정품 케이블 사용과 커넥터 클릭감 확인을 습관화하세요.

 

모니터(4K 고주사율, 5090 체감 극대화)

  • MSI MPG 321URX QD‑OLED(32″, 4K 240Hz) — 응답·명암·색역·지연 모두 상위권. 가격대비 경쟁력 호평.
  • ASUS ROG Swift PG32UCDM(32″, 4K 240Hz) — 우수한 균일도·색정확도·발열 설계.
  • Dell Alienware AW3225QF(32″, 4K 240Hz, 커브드) — 게임·HDR 영상 겸용에 평판 우수.

 

참고: 4K 480Hz 출력은 5090에서 DSC 조건으로만 공식 명시. 실제 시판 모니터는 현재 4K 240Hz가 주류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 4090에서 5090으로 바꾸면 체감이 확 나나요?

4K·풀 RT에선 평균 25~35%로 분명히 느낄 수 있고, MFG를 곁들이면 프레임은 더 늘어납니다. 반면 1440p 이하에선 체감이 제한적입니다.

 

Q. 1000W 파워로 충분합니까?

공식 권장 1000W로 충분하지만, 14900K/7950X3D급 CPU·AI 장시간 부하·오버클록 계획이면 1200W가 여유롭고 정숙합니다.

 

Q. AI 작업만 보면 4090과 차이가 크나요?

작업에 따라 다릅니다. Stable Diffusion·비디오 생성은 40~50% 가속 사례가 많고, 로컬 LLM은 10~30% 내외 향상을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엇보다 VRAM 32GB의 여유가 안정성과 모델 선택 폭을 넓힙니다.

 

한 줄 정리

 

4K 레이트레이싱·대형 AI 워크로드가 일상인 사용자라면 5090은 시간과 전력을 프레임/토큰으로 바꿔주는 가장 확실한 선택입니다. 그 외엔 4090 유지+모니터 업그레이드가 더 큰 체감일 수 있습니다.

 

출처·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