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 vs 클라우드 백업 입문 가이드

집이나 사무실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을 고민하면 보통 두 가지가 떠오릅니다. NAS(Network Attached Storage)와 클라우드 백업이죠. 이 글은 둘의 차이와 선택 기준, 입문용 추천 조합, 빠르게 시작하는 체크리스트까지 한 번에 정리한 실전 가이드입니다.

 

핵심 요약 (한눈에 보기)

 

  • 목표가 “백업”이면 동기화(Drive/Photos)는 보조 수단일 뿐, 전용 백업을 써야 합니다. (예: PC는 Backblaze/IDrive, NAS는 B2·C2·Wasabi 같은 객체 스토리지에 Hyper Backup/HBS로 백업) 근거
  • 3-2-1 원칙: 데이터 3개 복사본을 2가지 매체에, 1개는 오프사이트(원격). 랜섬웨어/재해 대응의 기본입니다. 설명 | 확장 3-2-1-1-0
  • NAS는 로컬 속도·대용량·자기 집 데이터 주권이 강점, 클라우드 백업은 오프사이트·관리 편의·초기비용 낮음이 강점입니다.

 

용어 정리: 백업 vs 동기화

 

  • 클라우드 동기화/스토리지: Google One, iCloud, OneDrive처럼 기기간 파일을 맞춰주는 서비스. 실수로 지운 파일이 동기화로 같이 지워질 수 있습니다. Google One 가격 | iCloud+ | OneDrive(365)
  • 클라우드 백업: 버전관리·자동·복구를 전제로 한 목적형 백업. PC엔 Backblaze/IDrive/Acronis, NAS엔 B2·C2·Wasabi 같은 객체 스토리지를 활용합니다. Backblaze Personal | IDrive | Acronis

 

NAS와 클라우드 백업, 뭐가 다를까?

 

항목 NAS 클라우드 백업
속도/작업성 로컬 네트워크로 매우 빠름(편집·미디어 서버·Plex 등) 업로드/복구는 회선 속도 의존, 초기 업로드 오래 걸릴 수 있음
오프사이트 단독으론 불충분(화재/침수/도난 동시 리스크), 클라우드와 병행 추천 본질적으로 오프사이트. 재해·랜섬웨어 대비에 유리
비용 구조 초기비용(본체+HDD) > 유지비 낮음 초기비용 낮음 > 사용량/연 단위 구독비 발생
확장성 베이/드라이브 용량 내에서 확장 TB 단위로 유연하게 확장
관리 난이도 초기 셋업/보안 관리 필요(계정·포트·스냅샷 등) 에이전트 설치 후 자동 백업 중심, 상대적으로 쉬움

 

비용·속도 감 잡기 (예시)

 

  • 클라우드 객체 저장소(대략)
    • Backblaze B2: $6/TB·월, 저장량의 3배까지 무료 egress, 10GB 무료. 공식
    • Synology C2 Object Storage: $6.99/TB·월, 저장 데이터만큼 무료 다운로드, API/삭제 수수료 없음. 공식
    • Wasabi: $6.99/TB·월, egress 무료(페어유즈), 최소 보존기간 90일가격 | 보존정책
  • PC 전용 백업 구독
    • Backblaze Personal: $99/년(무제한·PC 1대)공식
    • IDrive Personal: 5TB/10TB 등 용량제, 첫해 할인 빈번. 가격
  • 업로드 시간 계산 (대략치): 시간(초) ≈ 용량(GB) × 8,000 ÷ 업로드 속도(Mb/s).
    예) 2TB(=2,000GB)를 100Mb/s로 업로드 ≈ 160,000초 ≈ 약 44.4시간. 1Gb/s면 약 4.4시간. (프로토콜·제한·버전관리로 실제는 더 걸릴 수 있음)

 

입문 추천 조합(예산·목적별)

 

① PC 한 대 위주(사진·문서 중심, 간단·확실)

  • Backblaze Personal (무제한/연 $99): 설치만 하면 자동 백업·버전관리·우편 복구 옵션. 공식
  • 동기화는 보조: Google One 2TB(월 $9.99), iCloud+ 2TB(월 $9.99), OneDrive(365 Personal 연 $99.99)에 사진/협업용으로. Google One | iCloud+ | OneDrive

② 가족·크리에이터(수 TB, 로컬 작업 속도 중요)

  1. 2베이 NAS 본체 택1
    • Synology DS224+ (Intel J4125, RAM 2GB→최대 6GB, 1GbE×2, DSM 생태계·Hyper Backup). 제품 | 데이터시트
    • QNAP TS-262 (Celeron N4505, RAM 4GB, 2.5GbE, NVMe 캐시·HDMI, HBS 3). 제품
    • ASUSTOR AS3302T v2 (Realtek RTD1619B, 2.5GbE, Btrfs 스냅샷, 가성비). 제품
  2. HDD: CMR 기반 WD Red Plus(3년) 또는 Seagate IronWolf(일반 3년, Pro는 5년·IHM). WD Red Plus | IronWolf
  3. 오프사이트 백업: NAS → 객체 스토리지로
    • Synology Hyper Backup → Backblaze B2 (S3 호환). 설정 가이드
    • QNAP HBS 3 → B2/Wasabi/C2 등 연동. 가이드

 

실전 체크리스트 (랜섬웨어·재해 대비)

 

  • 설계: 3-2-1 달성(로컬 2, 원격 1). NAS 스냅샷(Btrfs/Copy-on-Write)·불변성(immutable/WORM) 옵션 확인. 3-2-1
  • 보안: 관리자 계정명 변경, 2단계 인증, 외부 포트 직접 개방 지양, 최신 펌웨어 유지.
  • 버전관리/보존기간: 백업 보존 주기와 객체 스토리지 정책(예: Wasabi 90일 최소 보존) 일치시켜 과금 폭탄 방지. 참고
  • 복구 리허설: 분기 1회 샘플 복구 테스트(RTO·RPO 점검).

 

초보자용 빠른 길잡이 (결정 플로우)

 

  1. PC 한 대 + 간단함 최우선 → Backblaze Personal 설치(무제한). 사진 공유·협업은 Google One/iCloud/OneDrive 보조.
  2. 영상·사진 편집/가족 NAS 필요 → 2베이 NAS(DS224+/TS-262/AS3302T v2) + 객체 스토리지(B2/C2/Wasabi)로 Hyper Backup/HBS 구성.
  3. 예산 고려: 클라우드 2TB만 백업 시 B2 약 $12/월, C2 약 $13.98/월, Wasabi $13.98/월(90일 보존 고려) 체감.

 

커뮤니티 인사이트(구매·설정 팁)

 

  • DS224+ 메모리 확장/가성비는 r/synology에서 자주 논의됩니다. 실사용 후기를 참고해 하드웨어 선택과 RAM 확장 여부를 결정하세요. 예시 토론
  • Hyper Backup→B2 사용 시 회전(버전) 정책을 적절히 잡지 않으면 비용이 불어납니다(실 사용자 경험). 참고 글
  • 디스크 선택·중고 이슈 등은 국내 커뮤니티에서도 논쟁이 많습니다. 고댓글 글을 참고해 CMR/SMR 구분, 보증, 진품 여부를 꼼꼼히 보세요. 디시 실시간 베스트

 

빠른 설정 가이드 (Synology 예시)

 

  1. Backblaze B2에서 버킷과 애플리케이션 키 생성. 가이드
  2. NAS의 Hyper Backup 실행 → S3 호환 선택 → 엔드포인트·키 입력 → 백업 소스(공유폴더/패키지) 선택 → 암호화·스케줄·회전(버전) 정책 설정. 자세히
  3. 분기마다 복구 테스트(임의 파일/폴더)로 신뢰성 점검.

 

제품·서비스 추천 (입문 친화·평판 기준)

 

 

자주 받는 질문(FAQ)

 

Q. NAS만 사면 백업 완료인가요?
A. 아닙니다. NAS 자체는 저장장치입니다. 스냅샷·버전관리·오프사이트(클라우드)까지 포함되어야 백업이 완성됩니다. 3-2-1 원칙

Q. B2, C2, Wasabi 중 무엇을 고를까요?
A. 예측 가능한 과금과 보존 정책을 먼저 비교하세요. B2는 $6/TB·월에 저장량 3배까지 egress 무료, C2는 $6.99/TB·월에 무료 다운로드(저장량 한도), Wasabi는 $6.99/TB·월·egress 무료지만 90일 최소 보존이 있어 짧은 보존에는 불리할 수 있습니다. B2 | C2 | Wasabi 정책

Q. 동기화만 켜놔도 괜찮나요?
A. 동기화는 편리하지만 실수/오염이 그대로 전파됩니다. 백업 전용 에이전트를 같이 쓰세요. 근거

 

참고 자료

 

 

마무리: NAS와 클라우드 백업은 경쟁이 아니라 조합입니다. 로컬 작업은 NAS로 빠르게, 재해·랜섬웨어 대비는 클라우드 백업으로 단단하게 하면 안전과 편의, 비용의 균형을 동시에 잡을 수 있습니다.